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터넷 광고의 장단점

카테고리 없음

by 링크스토리 2009. 10. 8. 11:43

본문

1. 인터넷 광고의 장점
 
 
(1) 시공간의 한계 극복
 
인터넷 광고는 다른 광고 매체와는 달리 시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TV, 라디오, 신문과 같은
광고매체의 경우 일정지역의 거주자에게, 일정시간에만 광고 전달이 가능하나 인터넷 광고의 경우 24시간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거대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세계의 광고가 있는 사이트를 방문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노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는 인터넷 광고가 일반화되어 이런
장점은 억지로 생각해 내야만 떠오른 것이 되었을 수도 있으나, 이는 실로 큰 장점이 아닐 수 없다.
 
 
(2) 잠재고객의 세분화 가능
 
인터넷 기업에 자신들이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종합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웨어하우스가 구축되어
있을 경우, 고객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이트를 방문한 회원들에 대한 성향 분석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 고객의 세분화가 가능하므로 효과적인
프로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급 화장품에 대한 구매를 유발시키는 것이 전략적인 방향일 경우 그에 해당하는 그룹을 추출해서 거기에
해당하는 고객에게 집중적인 홍보를 진행할 수 있다. 정확한 대상에게 적절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매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고객
입장에서는 사이트 상에서 무심코 행한 활동들이 모두 기록되고 있다고 생각하면 썩 좋은 기분이 아닐 수도 있으나 고객 정보를 갈망하는 기업들
입장에서는 매우 유용한 도구가 아닐 수 없다.
 
 
(3) 고객과의 일대일 상호작용이 가능
 
인터넷의 경우 기존 TV, 잡지, 신문 등 불특정 다수 소비자에게 하는 대중매체 광고와 달리 개인별 광고가
가능하다. 웹에는 방문자들의 정보를 알아내는 기술과 테크닉들이 많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별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고객의 요구사항 파악으로 이에 상응하는 피드백을 즉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고객 개개인의 프로필을 기반으로 한 메시지 노출도
가능하다.
 
 
(4) 멀티미디어 활용 가능
 
다른 매체에 비하여 텍스트는 물론 오디오, 그래픽,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적인 요소의 통합 활용이 가능하다.
오디오나 비디오를 만들고 수신하고 보기 위한 기술과 도구들이 점점 발전하고 쉬워지고 편리해지고 있다. 광고주 입장에서는 흥미를 유발하는데
효과적이며, 또한 수신자 입장에서 단순 텍스트보다는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메시지가 받아들이는 시간이 빠르면 편리하여 홍보의 효과가
좋다.
 
 
(5) 광고 효과의 즉시 모니터링이 가능
 
배너광고를 진행했을 경우에 클릭수, 방문자 수, 체류 시간 등과 같은 인터넷 광고 효과 측정 도구로 즉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러한 광고 효과 도구를 이용한 분석에 기초하여 광고효과와 고객반응에 따른 광고의 신속한 갱신과 수정이 가능하다. 또는 웹
로그 분석을 이용하여 방문자의 방문 경로, 방문자의 접속 도메인, 시간대, 요일 등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도 효과적인 광고나 홍보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
 
 
 
2. 인터넷 광고의 단점
 
한편 인터넷 광고의 운영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들도 수반된다.
 
 
(1) 통일된 표준이 없음
 
광고 효과의 측정에 대한 많은 이론들이 있으나, 실질적으로 정확한 측정이 결코 쉽지 않아서 가격에 대한 기준
책정을 광고 대행사의 제안과 그것에 대한 최선의 판단에 맡길 수밖에 없다.
 
 
(2) 광고 효과 측정에 대한 객관적 수단이 없음
 
노출빈도, 클릭 수 등의 기준을 사용하여 광고효과를 측정한다. 그러나 웹 사이트의 주제와 성격이 다양하여
광고를 올리기 위한 적절한 사이트의 선정 및 사이트간 비교가 어렵다.
 
 
(3) 적은 사용자 층
 
인터넷 인구가 아무리 많아졌어도, 대형 포털들 일부를 제외하고는 공중파 방송이나 신문들에 비해 사이트당
방문자 수가 적다. 전문 포털이 아닌 경우에는 광고 효과에 대하여 확신하기 어렵다. 이런 대형 포털들이나 전문 포털들의 광고비는 또한 결코 싸지
않다.
 
 
(4) 정보관리에 대한 높은 부하
 
직접 광고를 운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게 되면, 설계 방식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의 분량이 엄청나게
증가하게 된다. 여기에는 매우 유용한 정보도 있고, 유용할 것 같았으나 막상 추출해 보니 별 소용이 없는 것으로 밝혀지는 정보도 있고, 추가적인
조작을 가해야 유용해지는 정보들도 있다. 정보 가공 및 활용에 욕심을 부리게 되면, 여기에 따르는 관리 부하가 심해지게 된다. 또한, 이를 위한
하드웨어의 양도 많아지게 된다. 당연히 예산도 많이 소요되기 쉽다.
 
또한, 정보의 양이 많지 않더라도 고객의 개인 정보와 관련된 것이라면, 정보보안을 위한 최소한의 장치를
갖추어야 하고, 지속적으로 보안에 신경을 써야 한다.